앨버타 교사 파업 3주째, 주 정부 '강제 복귀 법안' 예고... 대규모 집회로 맞서
작성자 정보
- ekbs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7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앨버타 주 총리 다니엘 스미스는 법안 2호가 월요일에 제출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앨버타주(州) 교사들의 파업이 3주째에 접어들며 교육 현장의 혼란이 가중되는 가운데, 다니엘 스미스 주 총리가 다음 주 중 교사들의 업무 복귀를 강제하는 법안을 도입할 계획임을 공식 발표하였다. 이와 동시에 수천 명의 파업 교사들은 주의사당 밖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고 정부 정책에 강력하게 항의하였다.
약 5만 1,000명의 교사가 참여하고 있는 이번 파업은 주 전역의 약 75만 명 학생들의 수업 차질을 야기하며 장기화되고 있다. 교사들은 임금 인상, 학급 규모 축소, 복합 학습 지원 강화 등을 핵심 쟁점으로 내세우며 주 정부와의 협상에서 난항을 겪어왔다.
다니엘 스미스 주 총리는 현지 시각 목요일(23일) 기자회견을 통해 "파업이 3주째로 접어들면서 학생들과 가족들이 겪는 고통은 용인할 수 없는 수준"이라며, 주말까지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다음 주 월요일(27일)에 일명 '학교 복귀 법안(Back to School Act)'을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미 이 법안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의회 절차를 마련해 둔 상태이다.
이에 맞서, 수천 명의 파업 교사와 지지자들은 이날 앨버타 주의사당 앞에서 대규모 시위를 벌이며 정부의 일방적인 조치에 반발하였다. 시위 참가자들은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며 정부가 교사들의 목소리를 무시하고 강제적인 수단으로 파업을 종결하려 한다고 규탄하였다.
앨버타 교사협회(ATA)는 정부의 강제 복귀 법안 도입 계획에 대해 법률 자문을 구하고 있으며, 향후 법적 대응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노조 측은 정부가 제시한 중재안이 교사들의 핵심 요구 사항인 학급당 학생 수 제한 문제를 배제하고 있다며 협상 의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였다.
노동 관계 전문가들은 정부의 강제 복귀 명령이 단기적으로 학교를 재개할 수 있을지 몰라도, 교사들의 불만을 더욱 심화시키고 장기적인 교육 시스템 개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번 파업 사태는 주 정부와 교사 노조 간의 갈등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양상으로, 향후 법안 통과 여부 및 교사 노조의 대응에 따라 앨버타주 교육계에 큰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