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eaking News

베네수엘라 민주화 투쟁의 상징,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 노벨 평화상 수상

작성자 정보

  • ekbs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짙은 어둠 속에서도 민주주의의 불꽃을 꺼뜨리지 않은 용기에 전 세계가 주목했다. 베네수엘라의 독재 정권에 맞서 오랜 기간 민주화 운동을 이끌어 온 여성 야권 지도자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58)**가 올해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10일(현지시간) 노르웨이 노벨위원회는 마차도 수상자에 대해 "베네수엘라 국민의 민주적 권리를 증진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독재에서 민주주의로 정의롭고 평화로운 전환을 이루기 위한 투쟁"을 높이 평가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맙소사, 말이 안 나와"... 베네수엘라 국민에게 바치는 영광 

한밤중 노벨위원회로부터 수상 통보 전화를 받은 마차도는 "맙소사, 말이 안 나온다"는 놀라움을 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서 그녀는 "나는 그저 한 사람일 뿐 상을 받을 자격이 없다"며, **"이번 수상은 우리 국민에 대한 가장 큰 인정이며, 베네수엘라 국민이 마땅히 받아야 한다"**는 겸손하면서도 단호한 소감을 밝혔다. 그녀는 베네수엘라의 민주주의가 "아직 달성되지 못했다"면서도, **"우리는 반드시 승리할 것"**이라는 희망의 메시지를 덧붙였다.

 

'총알 대신 투표용지'를 선택한 '철의 여인' 

마차도는 10년 넘게 장기 집권 중인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의 독재에 맞서 싸워온 인물이다. 2002년 투표 감시 단체 '수마테'를 설립하며 정계에 뛰어들 당시 **"총알 대신 투표용지를 선택했다"**는 그녀의 발언은 이번 노벨위원회의 선정 이유에서도 인용되었다. 위원회는 "마차도는 한때 깊이 분열됐던 야권을 하나로 모으는 핵심 인물이었다"며, 그녀의 노력이 야권이 "공통의 기반을 찾을 수 있게 했다"고 높이 평가했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국회의원을 지낸 마차도는 2014년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조직하며 **'베네수엘라판 철의 여인'**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지난해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야권 단일 후보로 지명되었으나, 마두로 정권이 장악한 대법원에 의해 공직 피선거권이 15년간 박탈되어 출마가 좌절됐다. 이후 마두로의 3선 성공과 탄압을 피해 자국에 은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사회의 환영과 독재 정권에 대한 정면 비판 

노르웨이 노벨위원회는 수상자 발표와 함께 마두로 정권을 향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예르겐 바트네 프뤼드네스 위원장은 "마두로 정권은 선거 결과를 인정하지 않고 권력에 집착했다"며, **"우리는 지금 민주주의가 후퇴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세계 곳곳에서 "권력을 쥔 자들이 법치를 남용하고, 비판자들을 투옥하며, 사회를 권위주의와 군사화의 길로 몰아간다"고 경고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이번 수상은 당신(마차도)의 용기와 신념뿐 아니라 침묵을 거부하는 모든 목소리에 대한 경의의 표현"이라고 소셜미디어를 통해 환영의 뜻을 전했다. 유엔 인권사무소 대변인 역시 이번 수상이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 정치적 권리, 법치주의에 대한 베네수엘라 국민의 분명한 열망을 반영한 것"이라고 밝혔다.

노벨 평화상 시상식은 알프레드 노벨 사망일인 매년 12월 10일 노르웨이 수도 오슬로에서 열린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8 / 1 페이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