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생활

세무.재정 분류

2025년 캐나다 경제, '회복'과 '불안' 사이에서 길을 잃다

작성자 정보

  • ekbs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16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2025년 캐나다 경제, '회복'과 '불안' 사이에서 길을 잃다

 

2024년 하반기, 캐나다 경제를 향한 낙관론이 팽배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2025년 캐나다가 G7 국가 중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며 장밋빛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2025년 9월 현재, 캐나다 경제는 예측 불가능한 변수들 속에서 흔들리고 있다. '회복'의 온기가 채 가시기도 전에 '불안'의 먹구름이 다시 드리우는 모양새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GDP 성장률의 둔화다. 2025년 2분기 캐나다 GDP는 예상과 달리 역성장하며 우리에게 경고 신호를 보냈다. 수출 감소와 기업 투자의 위축이 주요 원인이었다. 2024년 말까지 이어지던 견조한 성장이 일시적인 현상이었음을 보여주는 것일지도 모른다. 물론 정부 지출과 가계 소비가 증가하며 일부를 상쇄했지만, 근본적인 성장 동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다행스러운 점은 물가 안정이다. 2025년 8월 기준 인플레이션율은 1.9%로 캐나다 중앙은행의 목표치 아래에 머물렀다. 이는 곧 중앙은행이 기준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가 안정은 가계의 구매력을 높이고 기업의 투자 부담을 덜어주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경제 전반의 활력을 되찾기엔 역부족이다.

고용 시장의 불안정은 우려를 더한다. 2025년 들어 고용 감소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8월에는 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고용이 줄었다. 고용은 경제의 바로미터다. 고용이 감소한다는 것은 기업들이 미래를 낙관적으로 보지 않는다는 뜻이며, 이는 곧 소비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안정적인 일자리가 있어야 소비가 살아나고 경제에 온기가 돌 수 있다. 고용 시장의 둔화는 금리 인하의 효과를 반감시킬 수 있는 치명적인 약점이다.

가장 큰 불안 요인은 정치적, 지정학적 리스크다. 2025년 초에 있었던 조기 총선으로 출범한 소수 정부는 경제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기 어렵다. 또한 미국의 대 캐나다 관세 부과 위협은 캐나다 경제의 발목을 잡는 가장 큰 변수다. 미국 경제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캐나다로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관세 부과는 수출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뿐 아니라 기업들의 투자 심리까지 위축시켜 캐나다 경제를 걷잡을 수 없는 혼돈 속으로 몰아넣을 수 있다.

2025년 캐나다 경제는 한 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안갯속에 놓여 있다. 물가 안정이라는 긍정적인 신호는 있지만, 성장 둔화, 고용 불안, 그리고 미국발 리스크라는 험난한 파도를 넘어야 한다. 정부는 단기적인 경기 부양책과 함께 장기적인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조적 개혁을 병행해야 한다. 특히 무역 다변화를 통해 미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노력이 시급하다. 2025년이 캐나다 경제의 전환점이 될지, 아니면 위기의 서막이 될지, 모든 것은 정부와 기업의 현명한 선택에 달려 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6 / 1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알림 0